‘파업 만능주의’의 우려, 노란봉투법을 다시 생각해야 하는 이유
노란봉투법이 국회 통과를 앞두면서 경영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경영계는 이 법안이 선한 의도와는 달리, 산업 현장에 예측 불가능한 혼란을 초래하고 국가 경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고 강력하게 경고합니다. ‘노동자의 권리 보호’라는 명분에 가려진 부작용이 훨씬 더 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경영계가 노란봉투법을 ‘산업 평화 파괴법’이라 부르며 반대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안정적인 경영 예측 가능성을 저해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흔들며, 결국에는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모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핵심 1. ‘법치주의 붕괴’: 사용자 개념의 무한 확장은 계약 질서를 무너뜨린다
현대 산업은 수많은 기업 간의 계약을 통해 움직이는 복잡한 생태계입니다. 각 기업은 독립된 법인격체로서 자신의 직원만 책임지는 것이 상식입니다. 노란봉투법은 ‘실질적 지배력’이라는 모호하고 추상적인 기준으로 사용자의 범위를 넓힙니다. 이렇게 되면 한 원청 대기업은 직접적인 계약 관계가 없는 수백, 수천 개 하청업체 노조의 교섭 요구에 동시다발적으로 직면할 수 있습니다. 누가, 언제, 어디까지 교섭에 응해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없어 현장은 극도의 혼란에 빠질 것입니다. 이는 기업 간의 명확한 계약 관계를 부정하고, 사법적 분쟁만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산업 생태계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습니다.
핵심 2. ‘불법파업 조장’: 손해배상 책임 면제는 산업 현장을 무법지대로 만든다
기업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사업장 점거, 생산 시설 파괴 등 명백한 불법 행위에 대해 손해배상 책임을 묻는 것은 기업의 정당한 권리이자, 불법 행위를 억제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입니다. 노란봉투법이 쟁의행위의 범위를 넓히고 손해배상 책임을 대폭 제한하면, 사실상 모든 파업에 ‘면죄부’를 주게 될 수 있습니다. 합법과 불법의 경계가 무너지면, 노조는 어떤 주장을 위해서든 파업을 ‘만능열쇠’처럼 사용하려 할 것입니다. 이는 대화와 타협이라는 노사 관계의 기본 원칙을 훼손하고,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투쟁 일변도의 문화를 조장할 위험이 큽니다.
핵심 3. ‘기업 경쟁력 약화’: 예측 불가능한 경영 환경은 투자를 막는다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들은 무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기업이 살아남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경영 환경이 필수적입니다. 노란봉투법이 시행되면 한국은 ‘파업하기 쉬운 나라’라는 인식이 박힐 수 있습니다. 상시적인 노사 갈등과 예측 불가능한 파업 리스크는 외국인 투자를 위축시키는 것은 물론, 국내 기업마저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당장의 노동권 강화가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투자 위축과 일자리 감소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경영계는 노란봉투법이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기보다는, 오히려 노사 관계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법치주의를 훼손하여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 자체를 갉아먹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노동계 찬성의견 보러가기 노란봉투법 개정안 살펴보기
